요나선교학교

요나선교학교 🌏 11 각개 전투식 게릴라전의 위기

https://youtu.be/6xWQCYm2SwA 들어가는 말 단체나 파송 교회도 없이, 동료들과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일하는 선교사를 ‘독립 선교’ 또는 ‘독단적 선교’라고 부릅니다. 불타오르는 신념(믿음)만으로 계획도 전략도 없이 선교지를 향하는 그들의 발걸음은 믿음의 행보라기보다는 무지의 행보라고 봅니다. 바울이 믿음 선교(Faith Mission)의 원리는 믿음으로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사역에 발을 딛기 전 아라비아에서 3년간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는 언어에 […]

요나선교학교 🌏 11 각개 전투식 게릴라전의 위기 Read More »

요나선교학교 🌏 10 개교회 선교의 장점과 단점

들어가는 말 누구나 왕이 되고 싶어하고 신하가 되기를 원치 않는다면, 그 나라는 설 수 없습니다. 경제적인 능력과 인적 재원이 있는 교회는 선교를 혼자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렇다면 선교 전문단체는 어디에 서서 일을 할 수 있을까요? 효율적 선교를 위한 개교회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레퍼런스 The Two Structures of God’s Redemptive Mission by Ralph D. Winter

요나선교학교 🌏 10 개교회 선교의 장점과 단점 Read More »

요나선교학교 🌏 09 선교비 모금 (Fundraising)

들어가는 말 성경은 선교를 나갈 때 아무것도 가지고 가지 말라고 말씀합니다(눅 10:4). 선교는 결코 돈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선교비가 없으면 선교를 못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선교비 없이는 선교가 가능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선교비는 도구일까요? 힘일까요? 선교비는 사역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동시에 선교사와 현지인의 관계를 패망으로 이끄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요나선교학교 🌏 09 선교비 모금 (Fundraising) Read More »

요나선교학교 🌏 08 선교지 문화이해의 위기

https://youtu.be/Wqdmof3oDVI 들어가는 말 태양이 어떤 사람에게는 아름답고 부드러운 솜으로 느껴지고 어떤 사람에게는 견디기 힘든 뜨거운 용광로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똑같은 물체를 보고 느끼는 시각과 정서의 차이는 각 지역마다 매우 다릅니다. 선교사는 선교지의 문화를 이해함이 없이 선교가 가능할까요? 레퍼런스 마 28:19-20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요나선교학교 🌏 08 선교지 문화이해의 위기 Read More »

요나선교학교 🌏 07 – 선교사의 목회적 선교의 위기

들어가는 말 선교사는 목회자가 아닙니다. 목회자와 선교사는 다릅니다. 선교사가 일정한 기간 동안 선도들을 양육하고 목양을 할지라도 그의 근본적인 사역은 선교에 있기 때문에 목회자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많은 선교사들이 당회장이 되어 선교 현장에서 목회를 하고 있습니다. 선교지에서의 목회는 현지인 목회자가 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물론 현지인 목회자가 아직 없는 경우에는 선교사가 목양을 할 수 있지만 선교사는 현지인들을

요나선교학교 🌏 07 – 선교사의 목회적 선교의 위기 Read More »

🌎 요나선교학교 🌏 06 – 간과되는 소수 부족 사역 그리고 중복투자의 위기

들어가는 말 무엇 때문에 사람 수도 많고 지역적으로도 넓은 곳을 택하지 않았을까요? 많은 생명을 구하려면 큰 종족에게 가야 효과적일텐데 무엇 때문에 일의 효율성도 보이지 않는 작은 부족 속에서 일하는 것일까요? 이러한 극히 이성적인 질문들은 성공의 기준을 숫자에 두기 때문에 던져지는 질문입니다. 만약 숫자가 많은 지역을 선교의 우선 순위에 둔다면 시골 교회에는 누가 가며, 작은 섬

🌎 요나선교학교 🌏 06 – 간과되는 소수 부족 사역 그리고 중복투자의 위기 Read More »

🌎 요나선교학교 🌏 05 – 프로젝트성 선교의 위기

들어가는 말 ‘쓴 것이 다 약이 아니라면 단 것도 다 사탕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효과적인 선교를 위해서는 크고 작은 프로젝트가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프로젝트와 선교, 이 둘을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그것이 선교 사업(Business)인지 혹은 선교 사역(Ministry)인지 구분이 안되면 큰일입니다. 선교에 프로젝트가 따라가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러한 프로젝트가 ‘프로젝트성 선교’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건축만 하다가 정작 중요한 복음 전파와 제자양육의

🌎 요나선교학교 🌏 05 – 프로젝트성 선교의 위기 Read More »

🌎 요나선교학교 🌏 04 – 종말적 선교인가, 선교적 종말인가?

들어가는 말 로이드 존스는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복음은 종말론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과연 종말과 선교를 어떻게 연결하여 생각하는 것이 가장 성경적일까요? 역사적으로 복음적인 종말론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많은 혼란을 야기 시켜왔던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요즘은 말세’라는 말들을 자주 해 왔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말세라는 말을 하는 것일까요? 말세에 대한 성경적인 관점은

🌎 요나선교학교 🌏 04 – 종말적 선교인가, 선교적 종말인가? Read More »

🌎 요나선교학교 🌏 03 – 선교 지향적 교회인가 목회 지향적 선교인가?

들어가는 말 교회의 목적은 무엇이며, 선교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목적에 따라 방향이 변합니다. 선교에 목적을 두는 목회를 하느냐 아니면 목회에 목적을 둔 선교를 하느냐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목적이나 생각은 결과를 낳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일이 목적 지향적이기 때문입니다. 목회에 목적을 둔 선교라면 선교는 한갓 목회를 위한 보조 수단이 되고 맙니다. 데이비드 보쉬(David Bosch)는 그의 저서 <선교의 위기>에서

🌎 요나선교학교 🌏 03 – 선교 지향적 교회인가 목회 지향적 선교인가? Read More »

🌎 요나선교학교 🌏 02 – 선교사를 위한 선교인가, 선교지를 위한 선교인가?

들어가는 말 선교지 없는 선교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선교사 없는 선교지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과연 교회는 무엇을 우선 순위로 생각하고 선교사를 파송했는지 자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선교지 때문에, 즉 복음을 듣지 못하고 죽어가는 영혼들을 구원해야 한다는 열정 때문에 선교사를 그곳에 보냈는지? 아니면 선교사 개인의 요청 때문에 그를 그곳에 보냈고 그 선교지를 알게 되었는지? 참으로 깊이 생각해

🌎 요나선교학교 🌏 02 – 선교사를 위한 선교인가, 선교지를 위한 선교인가? Read More »